묵상 나눔
마태복음 12장 31-37절

2019214(마태복음 1231-37)

-질그릇 성도들과 나누는 묵상

31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에 대한 모든 죄와 모독은 사하심을 얻되 성령을 모독하는 것은 사하심을 얻지 못하겠고 32 또 누구든지 말로 인자를 거역하면 사하심을 얻되 누구든지 말로 성령을 거역하면 이 세상과 오는 세상에서도 사하심을 얻지 못하리라 33 나무도 좋고 열매도 좋다 하든지 나무도 좋지 않고 열매도 좋지 않다 하든지 하라 그 열매로 나무를 아느니라 34 독사의 자식들아 너희는 악하니 어떻게 선한 말을 할 수 있느냐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라 35 선한 사람은 그 쌓은 선에서 선한 것을 내고 악한 사람은 그 쌓은 악에서 악한 것을 내느니라 36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이 무슨 무익한 말을 하든지 심판 날에 이에 대하여 심문을 받으리니 37 네 말로 의롭다 함을 받고 네 말로 정죄함을 받으리라

 

그러므로(31), 독사의 자식들아(34)... 오늘 말씀은 어제 묵상 본문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이 사탄의 힘으로 기적을 일으킨 것이라는 바리새인들의 폄하 논란에 이어진 말씀입니다.

 

예수님도 이 땅에 성육신하신 하나님이시건만 성부 하나님의 인도를 받아 순종하시며 둘째 아담의 역할을 행하셨습니다. 첫 번째 아담의 실패를 회복하기 위하여 오셨기 때문입니다. 성령의 능력으로 이 일을 이루셨습니다. 성령이 하신 일을 폄하하는 것은 그들 마음이 잘못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바리새인들입니다. 율법에 능통한 자로 자신들의 아성을 쌓은 자들입니다. 그들은 새 언약의 시대가 성령으로 도래함을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그들의 마음이 악하니 성령 하나님이 허락하신 열매를 보고도 깨닫지 못하고, 성령을 훼방하는 자가 되고 말았습니다.

 

성령의 역사를 무시하거나, 성령을 부인하는 것은 자신 안에 오셔서 구속의 은혜를 적용하시는 성령의 역사를 부인하고 거절하는 결과(열매)에 봉착할 뿐입니다. 그 결과는 죄 사함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과 화목하고 회복되는 유일한 방편이 죄사함입니다. 회개입니다. 회개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회개의 은혜, 곧 죄사함을 적용하시고 이끄시는 분이 성령이시기 때문입니다.

8:23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

 

예수님의 사역도 그 열매로 판별할 줄 알아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33).

 

더불어 우리는 성령의 열매 맺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5:16-23). 525절입니다. “만일 우리가 성령으로 살면 또한 성령으로 행할지니(Since we live by the Spirit, let us keep in step with the Spirit.)”

 

성령에 대해 민감할 수 있는 마음과 그 마음으로부터 나오는 말이 우리의 열매를 결정합니다. 구원과 심판의 경계선은 그렇게 결정이 됩니다(37).

2/14/2019 2:53:00 PM

There is no comment yet...
의견 등록을 하시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