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동역자들의 다툼
사도행전 15장 36-41절
36 며칠 뒤에, 바울이 바나바에게 말하였다. "우리가 주님의 말씀을 전파한 여러 도시로 신도들을 다시 찾아가서, 그들이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를 살펴 봅시다."
37 그런데 바나바는 마가라는 요한도 데리고 가려고 하였다.
38 그러나 바울은, 밤빌리아에서 자기들을 버리고 함께 일하러 가지 않은 그 사람을 데리고 가는 것을 좋게 여기지 않았다.
39 그래서 그들은 심하게 다툰 끝에, 서로 갈라서고 말았다. 바나바는 마가를 데리고, 배를 타고 키프로스로 떠나갔다.
40 그러나 바울은 실라를 택하고, 신도들로부터 주님의 은혜가 함께 하기를 바라는 인사를 받고서, 길을 떠났다.
41 그래서 시리아와 길리기아를 돌아다니며, 모든 교회를 튼튼하게 하였다.
성령 충만한 초대교회의 기록 속에서 우리는 때로 당혹스러운 장면과 마주합니다. 위대한 동역자였던 바울과 바나바가 마가 요한을 동행하는 문제로 "심하게 다툰 끝에, 서로 갈라서는" 장면이 바로 그것입니다. 성경은 이들의 연약함을 미화하거나 숨기지 않고, 그들의 날선 감정("파록쉬스모스")까지 정직하게 기록합니다. 이는 우리에게 중요한 경고와 위로를 동시에 줍니다. 아무리 성숙한 신앙인과 공동체라 할지라도 인간적인 한계와 갈등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경고이며, 우리의 연약함과 넘어짐 역시 결코 이상하거나 끝이 아니라는 위로입니다.
문제는 갈등의 발생 여부가 아니라, 그 위기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있습니다. 바로 앞장에서 예루살렘 교회는 교리적 대립이라는 큰 위기를 맞았지만, 사심 없이 성령의 인도를 따르려 했던 지도자들의 진심을 통해 지혜롭게 해결했습니다. 반면, 바울과 바나바는 이 개인적인 갈등의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각자의 길을 가게 됩니다. 원칙을 중시했던 바울의 입장과 사람에게 다시 기회를 주려 했던 바나바의 입장이 충돌했을 때, 그들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분열에 이르고 만 것입니다.
그러나 이 실패처럼 보이는 사건마저도 결국 하나님의 더 크신 손길 안에서 유익하게 변모됩니다. 하나의 선교팀은 둘로 나뉘어 더 넓은 지역으로 복음을 전하는 계기가 되었고, 실패자로 낙인찍힐 뻔했던 마가 요한은 훗날 바울이 가장 아끼는 동역자로 다시 세워집니다. 이는 때로 우리가 넘어지고 잘못된 선택을 할지라도, 성령께서는 그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며, 깨어진 관계마저도 회복시키고 더 위대한 일에 사용하신다는 놀라운 사실을 보여줍니다. 우리의 실패가 하나님의 실패가 아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발명왕 에디슨은 직류(DC) 시스템을, 그의 직원이었던 천재 과학자 테슬라는 교류(AC) 시스템을 주장하며 격렬하게 대립했습니다. 이 갈등은 단순한 의견 차이를 넘어, 서로를 비방하고 공격하는 '전류 전쟁'으로 번졌고 결국 테슬라는 에디슨의 회사를 떠났습니다. 두 위대한 과학자는 화해하지 못했지만, 역설적으로 그들의 치열한 경쟁은 전기 기술의 발전을 폭발적으로 가속화했습니다. 결국 테슬라의 교류가 표준이 되었지만, 두 사람의 갈등과 분열은 인류 전체를 더 밝은 세상으로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섭리는 때로 인간의 갈등마저도 선한 목적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십니다.
때로 인간적인 연약함으로 다투고 넘어질지라도, 그 실패에 좌절하지 않게 하시고,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하나님의 주권을 신뢰하며, 용서와 화해를 통해 결국 더 큰 유익을 만들어내는 성숙한 믿음을 주옵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