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15장 22-35절
22 그래서 사도들과 장로들과 온 교회가 대표들을 뽑아서, 바울과 바나바와 함께 안디옥으로 보내기로 결정하였다. 그래서 대표로 뽑힌 사람은 신도들 가운데서 지도자인 바사바라고 하는 유다와 실라였다.
23 그들은 이 사람들 편에 아래와 같은 내용의 편지를 써 보냈다. "형제들인 우리 사도들과 장로들은 안디옥과 시리아와 길리기아의 이방 사람 교우 여러분에게 문안합니다.
24 그런데 우리 가운데 몇몇 사람이 [여러분에게로 가서], 우리가 시키지 않은 여러 가지 말로 여러분을 혼란에 빠뜨리고, 여러분의 마음을 어지럽게 하였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25 그래서 우리는 몇 사람을 뽑아서, 사랑하는 바나바와 바울과 함께 여러분에게 보내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하였습니다.
26 바나바와 바울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위해서 자기 목숨을 내놓은 사람들입니다.
27 또 우리가 유다와 실라를 보내니, 그들이 이 일을 직접 말로 전할 것입니다.
28 성령과 우리는 꼭 필요한 다음 몇 가지 밖에는 더 이상 아무 무거운 짐도 여러분에게 지우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29 여러분은 우상에게 바친 제물과 피와 목매어 죽인 것과 음행을 멀리하여야 합니다. 여러분이 이런 것을 삼가면, 여러분은 잘 행한다고 하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30 그들은 전송을 받고 안디옥에 내려가서, 회중을 다 모아 놓고, 그 편지를 전하여 주었다.
31 회중은 편지를 읽고, 그 권면을 기쁘게 받아들였다.
32 유다와 실라도 예언자이므로, 여러 말로 신도들을 격려하고, 굳세게 하여 주었다.
33 그들은 거기서 얼마 동안 지낸 뒤에, 신도들에게서 평안히 가라는 전송을 받고서, 자기들을 보낸 사람들에게로 돌아갔다. (34절 없음)
35 그러나 바울과 바나바는 안디옥에 머물러 있으면서, 다른 여러 사람과 함께 주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전하였다.
율법의 정신, 삶의 증명
초대교회의 미래가 걸린 예루살렘 공의회는 신학적 논쟁을 넘어, 지혜롭고 사려 깊은 화합의 결론에 이릅니다. 그들은 편지와 함께 존경받는 지도자 유다와 실라를 안디옥에 파견하여, 이방인들을 혼란케 한 율법주의자들의 가르침이 예루살렘 교회의 공식 입장이 아님을 분명히 합니다. 또한 바울과 바나바의 사역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며 그들의 권위를 세워주었고, 이 모든 결정이 "성령과 우리"의 뜻임을 밝혀 공동체의 연대와 성령의 주권을 동시에 드러냈습니다.
편지의 핵심은 이방인들에게 율법의 무거운 짐을 지우지 않되, 몇 가지를 멀리하라는 권면이었습니다. 이는 율법의 조항을 지켜야 구원받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구원받은 백성으로서 과거의 이교적 습관을 버리고 세상과 '구별된 삶'을 살라는 요청이었습니다. 율법의 본래 정신, 즉 거룩하신 하나님을 따라 '거룩하게(구별되게)' 살라는 영원한 원칙을 새로운 상황에 맞게 적용한 것입니다. 안디옥 교회 성도들이 이 편지를 받고 기뻐한 이유는, 율법의 굴레에서 벗어난 자유와 함께,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명확하고 실천적인 지침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 결정은 오늘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던집니다. 우리의 믿음은 무엇을 믿는지에 대한 교리에서 끝나지 않고, 그 믿음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구별시키는지를 통해 증명됩니다. 세상 사람들은 우리의 신학에 관심이 없지만, 우리의 삶의 방식은 예리하게 주목합니다. 우리의 말과 행동, 가치관에서 세상과 다른 '거룩함'이 드러나지 않는다면, 우리의 복음 전파는 공허한 외침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진리와 정의와 사랑의 하나님을 믿는 신앙은, 바로 그분의 성품을 닮은 구별된 삶으로 세상에 번역되어야 합니다.
지혜로운 판사는 법 조항의 글자 하나하나에만 얽매이지 않고, 그 법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정신'과 '의도'를 헤아려 판결합니다. 때로는 법의 문자적 적용이 오히려 법의 정신(정의, 공평, 약자 보호)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루살렘 공의회는 지혜로운 판사와 같았습니다. 그들은 '율법 조항'이라는 문자에 얽매이지 않고, '하나님의 백성을 거룩하게 구별시킨다'는 율법의 근본 정신을 파악했습니다. 그리고 그 정신을 이방인이라는 새로운 상황에 맞게 '네 가지 금지 조항'으로 재해석하여 적용함으로써, 율법주의의 굴레는 벗기되 거룩한 삶의 책임은 지게 하는 지혜로운 판결을 내렸습니다.
우리를 율법의 굴레에서 벗어나게 하신 은혜에 감사하며, 그 자유 안에서 세상과 구별된 거룩한 삶을 살아냄으로써, 우리의 삶 자체가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증거하는 편지가 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