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147:12-20
12 예루살렘아 여호와를 찬송할지어다 시온아 네 하나님을 찬양할지어다
13 그가 네 문빗장을 견고히 하시고 네 가운데에 있는 너의 자녀들에게 복을 주셨으며
14 네 경내를 평안하게 하시고 아름다운 밀로 너를 배불리시며
15 그의 명령을 땅에 보내시니 그의 말씀이 속히 달리는도다
16 눈을 양털 같이 내리시며 서리를 재 같이 흩으시며
17 우박을 떡 부스러기 같이 뿌리시나니 누가 능히 그의 추위를 감당하리요
18 그의 말씀을 보내사 그것들을 녹이시고 바람을 불게 하신즉 물이 흐르는도다
19 그가 그의 말씀을 야곱에게 보이시며 그의 율례와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보이시는도다
20 그는 어느 민족에게도 이와 같이 행하지 아니하셨나니 그들은 그의 법도를 알지 못하였도다 할렐루야
대하 1:7-13
7 그 날 밤에 하나님이 솔로몬에게 나타나 그에게 이르시되 내가 네게 무엇을 주랴 너는 구하라 하시니
8 솔로몬이 하나님께 말하되 주께서 전에 큰 은혜를 내 아버지 다윗에게 베푸시고 내가 그를 대신하여 왕이 되게 하셨사오니
9 여호와 하나님이여 원하건대 주는 내 아버지 다윗에게 허락하신 것을 이제 굳게 하옵소서 주께서 나를 땅의 티끌 같이 많은 백성의 왕으로 삼으셨사오니
10 주는 이제 내게 지혜와 지식을 주사 이 백성 앞에서 출입하게 하옵소서 이렇게 많은 주의 백성을 누가 능히 재판하리이까 하니
11 하나님이 솔로몬에게 이르시되 이런 마음이 네게 있어서 부나 재물이나 영광이나 원수의 생명 멸하기를 구하지 아니하며 장수도 구하지 아니하고 오직 내가 네게 다스리게 한 내 백성을 재판하기 위하여 지혜와 지식을 구하였으니
12 그러므로 내가 네게 지혜와 지식을 주고 부와 재물과 영광도 주리니 네 전의 왕들도 이런 일이 없었거니와 네 후에도 이런 일이 없으리라 하시니라
13 이에 솔로몬이 기브온 산당 회막 앞에서부터 예루살렘으로 돌아와서 이스라엘을 다스렸더라
막 13:32-37
32 그러나 그 날과 그 때는 아무도 모르나니 하늘에 있는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아버지만 아시느니라
33 주의하라 깨어 있으라 그 때가 언제인지 알지 못함이라
34 가령 사람이 집을 떠나 타국으로 갈 때에 그 종들에게 권한을 주어 각각 사무를 맡기며 문지기에게 깨어 있으라 명함과 같으니
35 그러므로 깨어 있으라 집 주인이 언제 올는지 혹 저물 때일는지, 밤중일는지, 닭 울 때일는지, 새벽일는지 너희가 알지 못함이라
36 그가 홀연히 와서 너희가 자는 것을 보지 않도록 하라
37 깨어 있으라 내가 너희에게 하는 이 말은 모든 사람에게 하는 말이니라 하시니라
시편 147편은 피조 세계를 주관하시고 역사를 다스리시는 하나님께 찬양을 올립니다. 이 시편은 세 연으로 뚜렷이 나뉩니다. 오늘 시편 본문은 그 중 셋째 연으로 예루살렘과 시온을 향해 하나님을 찬양하라고 명합니다(12절). 주님께서 예루살렘 도성을 지키시고 그 주민들에게 평화와 번영을 주셨기 때문입니다(13-14절). 그것은 그분의 말씀으로 하신 일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한 순간에 세상을 얼어붙게 만들 수도 있고 풀리게 할 수도 있습니다(15-18절). 주님은 그 말씀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계시 하셨습니다. 그것은 오직 이스라엘 백성에게만 주어진 특전입니다(19-20절). 그러므로 이스라엘 백성은 마땅히 하나님을 찬양해야 합니다.
오늘날 우리가 좋아하고 존경하고 찬양할 궁극적인 대상은 하나님이십니다. 그분이 행하신 일을 통해 그분이 어떤 분인지를 알게 되면, 우리는 마땅히 찬양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나님께 대한 찬양은 의무나 형식이 아닙니다. 그분의 영광과 사랑에 압도되어 솟아나는 것입니다. 피조 세계를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는 그분의 손길, 역사를 이루어 가시는 그분의 섭리 그리고 안개와도 같이 덧없는 인생에게 베푸는 그분의 은혜를 안다면, 그분 앞에 엎드려 경배와 찬양을 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 경배와 찬양을 통해 우리는 비루한 세상에서 솟아나 그분의 거룩하심에 참여하기를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