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7월 17일(에스겔서 4장 1-17절)_새번역
1 “너 사람아, 너는 이제 흙벽돌을 한 장 가져다가 네 앞에 놓고, 한 성읍 곧 예루살렘을 그 위에 새겨라. 2 그 다음에 그 성읍에 포위망을 쳐라. 그 성읍을 공격하는 높은 사다리를 세우고, 흙 언덕을 쌓고, 진을 치고, 성벽을 부수는 무기를 성 둘레에 설치하여라. 3너는 또 철판을 가져다가 너와 그 성읍 사이에 철벽을 세워라. 그 도성을 포위하고 지켜보아라. 네가 그 도성을 포위하고 있거라. 이것이 이스라엘 족속에게 보여 주는 징조다. 4 너는 또 왼쪽으로 누워서, 이스라엘 족속의 죄악을 네 몸에 지고 있거라. 옆으로 누워 있는 날 수만큼, 너는 그들의 죄악을 떠맡아라. 5 나는 그들이 범죄한 햇수대로 네 날 수를 정하였다. 그러니 네가 삼백구십 일 동안 이스라엘 족속의 죄악을 떠맡아야 할 것이다. 6 이 기간을 다 채운 다음에는, 네가 다시 오른쪽으로 누워서, 유다 족속의 죄악을 사십 일 동안 떠맡고 있거라. 나는 너에게 일 년을 하루씩 계산하여 주었다. 7너는 이제 예루살렘의 포위망을 응시하면서, 네 팔을 걷어붙이고, 그 성읍을 심판하는 예언을 하여라. 8 내가 너를 줄로 묶어서, 네가 갇혀 있는 기한이 다 찰 때까지, 네가 몸을 이쪽 저쪽으로 돌려 눕지 못하도록 하겠다. 9 너는 밀과 보리와 콩과 팥과 조와 귀리를 준비하여 한 그릇에 담고, 그것으로 빵을 만들어 네가 옆으로 누워 있는 삼백구십 일 동안 내내 먹어라. 10 너는 음식을 하루에 이십 세겔씩 달아서, 시간을 정해 놓고 먹어라. 11 물도 되어서 하루에 육분의 일 힌씩, 시간을 정해 놓고 따라 마셔라. 12 너는 그것을 보리빵처럼 구워서 먹되, 그들이 보는 앞에서, 인분으로 불을 피워서 빵을 구워라.” 13 주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내가 이스라엘 자손을 다른 민족들 속으로 내쫓으면, 그들이 거기에서 이와 같이 더러운 빵을 먹을 것이다.” 14그래서 내가 아뢰었다. “주 하나님, 저는 이제까지 저 자신을 더럽힌 일이 없습니다. 어려서부터 지금까지 저절로 죽거나 물려 죽은 짐승의 고기를 먹은 적이 없고, 부정한 고기를 제 입에 넣은 적도 없습니다.” 15 그러자 주님께서 나에게 말씀하셨다. “좋다! 그렇다면, 인분 대신에 쇠똥을 쓰도록 허락해 준다. 너는 쇠똥으로 불을 피워 빵을 구워라.” 16주님께서 또 나에게 말씀하셨다. “사람아, 내가 예루살렘에서 사람들이 의지하는 빵을 끊어 버리겠다. 그들이 빵을 달아서 걱정에 싸인 채 먹고, 물을 되어서 벌벌 떨며 마실 것이다. 17 그들은 빵과 물이 부족하여 누구나 절망에 빠질 것이며, 마침내 자기들의 죄악 속에서 말라 죽을 것이다.”
하나님이 에스겔에게 행위 예언을 명령하십니다. 참으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 8 내가 너를 줄로 묶어서, 네가 갇혀 있는 기한이 다 찰 때까지, 네가 몸을 이쪽 저쪽으로 돌려 눕지 못하도록 하겠다.”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 이스라엘을 바라보며 예루살렘이 무너지고 패망하는 것을 개인적으로 받아 들이는 것도 고통이었을 것입니다.
또한 퍼포먼스로 예언하는 것 역시 심적 고통이 컸을 것입니다.
육체적인 고통도 당합니다. 과연 이러한 행위 예언이 당시의 사람들에게 의미를 있었을까도 생각해 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이시지만 하나님의 메시지로서, 말씀 그 자체로서, 이 땅에 인간으로 태어나시고 33년여간 사셨습니다.
그가 행하신 삶, 가르침, 말씀, 기적, 그 가운데 겪어야 했던 그를 오해하고 반대했던 수많은 고통을 친히 감당하셨습니다.
우리도 이 세상의 삶에서 예수님처럼, 왕으로 제사장으로 선지자로서 사명을 승계한다고 조직신학적 교리는 가르쳐 줍니다.
나도 나의 삶을 통해 비록 고통을 통해서라도 하나님을 증거 하는 것이 또 하나의 성도의 삶의 의미가 아닌가 생각해 보게 됩니다.
남유다 백성의 죄악은 하나님의 약속과 축복을 무력화 시킨 결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이러한 에스겔을 통해서라로 말씀하셔야 하는 하나님은 그 절망의 끝에서 하나님의 실존과 주권적 다스리심을 인정하고 돌이키게 하시기 위한 사랑이 출발점임을 문득 발견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모든 상황 속에서 나를 다스리십니다. 죄악은 깊어가고 절망은 커져 가는 것 같지만 말입니다.